Trinity 3차시 과제 - 10203 김건우
SSH
SSH는 Secure Shell의 줄임말로,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안 프로토콜입니다. 이 SSH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키 입니다. SSH에서 사용자와 서버는 각각의 키를 보유하고 있으며, 이 키를 이용해 연결 상대를 인증하고 서로 안전하게 데이터를 주고 받게 됩니다. 여기서 키를 생성하는 방식은 대칭키와 비대칭키 방식으로 나누어집니다. 우선 사용자와 서버가 서로를 증명하면서 비대칭키 방식이 사용되고 서버 또는 사용자가 키 페어를 생성합니다. 키 페어는 공개 키와 개인 키의 두 가지로 이루어진 한 쌍을 뜻하며, 보통 공개 키의 경우 .pub, 개인 키의 경우 .pem의 파일 형식을 띄고 있습니다. 이렇게 서로를 확인하고 난 이후에는 정보를 주고 받게 되고, 이 과정에서 정보가 새어나가지 않기 위해 정보를 암호화해서 주고받는데, 여기서 사용되는 과정이 대칭키 방식입니다. 대칭키 방식에서는 비대칭키 방식과 달리 한 개의 키만을 사용합니다. 이렇게 이 대칭키로 정보를 암호화하면 받은 쪽이 동일한 대칭키로 복호화를 할 수 있습니다.
Telnet
Telnet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원격지의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telnet은 사용자가 원거리에 위치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는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에 로그인하여 원격지 컴퓨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.
SSH와 Telnet의 차이점
SSH와 Telnet은 각각 TCP 포트 22, 23번을 사용하고 두 프로토콜 모두 기능은 비슷하지만 Telnet은 송신 시에 데이터가 평서문 형식으로 되어있어 해킹을 당할 시 정보가 그대로 노출될 확률이 크지만, SSH는 암호화 통신을 하기에 Telnet보다 더안전한 통신이 가능합니다. 그리고 SSH는 인증을 위해 공개키를 사용하지만, Telnet은 인증을 사용하지 않습니다. 또한 SSH는 Telnet에 비해 대역폭에 더 많은 오버헤드를 사용하며 SSH는 공용 네트워크에, Telnet은 개인 네트워크에 적합합니다.